디지털 시대, 사진관의 부활

왼쪽부터 ‘물나무 사진관’에 걸려 있는 가수 아이유 사진, 포토매틱에서 셀카를 촬영한 배우 공효진.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결혼 6년 차인 곽보연(여·32)씨는 3월 10일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마을에 있는 사진관 ‘봄’에서 남편, 딸과 함께 가족사진을 찍었다. 이곳은 흑백 즉석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사진관. 만삭 사진도 흑백으로 남겼던 이 부부는 3년 만에 다시 흑백 사진을 찍었다. 곽씨는 “여러 번 촬영해 몇 장씩 인화할 수 있는 디지털 사진과 달리 찰나의 순간을 단 한 장에 담는다는 의미가 크다”며 “디지털 세상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우리만의 추억을 남긴 기분이다”라고 말했다.
스마트폰 카메라가 날로 진화하면서 사라져갈 것만 같던 사진관이 다시 인기다. 최근 20~30대 연인뿐만 아니라 가족이 모여 사진관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카메라가 날로 발전하며 눈가 주름, 입술 옆 점 하나까지 놓치지 않는 시대 흐름과 반대로 피사체의 윤곽, 질감을 살리는 것에 집중하는 필름 사진, 그중에서도 흑백 전문 사진관을 찾는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혼자 흑백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사진관까지 등장했다.
‘세상에 단 한 장’뿐인 흑백 즉석 사진
사진관의 부활을 이끈 건 뭐니 뭐니 해도 흑백 사진이다. 현재 전국에 흑백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곳은 10곳이 넘는다. 이 중에서도 사진 촬영 뒤 바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흑백 즉석 사진이 인기를 끌고 있다.
흑백 즉석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사진관은 대부분 옛날 감성이 묻어나는 동네에 있다.
서울 ‘물나무 사진관’ ‘연희동 사진관’은 최고 높이가 5층 미만인 건물이 붙어 있는 계동, 연희동 골목길에 자리 잡고 있다. 부산 신창동의 ‘근대 흑백사진관 그리다’는 국제시장 뒷골목에 있다. 김규현 연희동 사진관 대표는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 있는 흑백 사진을 다루는 사진관이 빌딩 숲 사이에 있다는 건 상상하기 힘들다”며 “옛날 서울 느낌이 나는 주택가 위주로 위치를 알아봤다”라고 말했다.
20~30대를 중심으로 남들과 다른 것을 갖고 싶다는 욕구가 증가한 것은 흑백 즉석 사진이 인기를 끄는 원인 중 하나다. 자녀의 돌이나 백일처럼 특별한 날에 예스러운 느낌의 사진을 남기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다. 다섯 살 딸을 키우는 성정연(여·36)씨는 “아이가 한 명인 만큼 다른 아이들과 다른 추억을 갖도록 하고 싶다”며 “컬러 사진을 찍었지만, 흑백으로 즉석 사진을 한 장 더 남겼다”고 말했다.
사진사 없이 ‘내가 찍는다’, 흑백 셀카 인기
흔한 셀카 대신 흑백 필름으로 자신을 촬영하는 사진관도 등장했다. 서울 신사동의 사진관 ‘포토매틱’은 연예인 공효진, 노홍철, 이하늬, 손나은 등이 셀프 촬영을 한 곳으로 유명하다. 이들이 혼자 또는 반려견과 함께 다채로운 표정으로 찍은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면서 이 사진관이 유명해졌다. 이곳에선 15분 동안 스스로 리모컨을 눌러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흑백 즉석 사진으로 유명한 물나무 사진관에서도 사진사 없이 혼자 하는 자화상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자신을 찍어야 하지만, 지켜보는 사람이 없어 오히려 자연스러운 표정이 나오기도 한다. 물나무 사진관은 고객의 자화상만 모아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포토매틱에서 친구들과 함께 사진을 촬영한 김진영(여·26)씨는 “사진 찍는 건 하나의 놀이”라며 “친구들 생일마다 와서 사진을 찍은 뒤 SNS에 올린다”고 말했다.
출처 : 이코노미조선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5&t_num=13608131
디지털 시대, 사진관의 부활
왼쪽부터 ‘물나무 사진관’에 걸려 있는 가수 아이유 사진, 포토매틱에서 셀카를 촬영한 배우 공효진.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결혼 6년 차인 곽보연(여·32)씨는 3월 10일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마을에 있는 사진관 ‘봄’에서 남편, 딸과 함께 가족사진을 찍었다. 이곳은 흑백 즉석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사진관. 만삭 사진도 흑백으로 남겼던 이 부부는 3년 만에 다시 흑백 사진을 찍었다. 곽씨는 “여러 번 촬영해 몇 장씩 인화할 수 있는 디지털 사진과 달리 찰나의 순간을 단 한 장에 담는다는 의미가 크다”며 “디지털 세상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우리만의 추억을 남긴 기분이다”라고 말했다.
스마트폰 카메라가 날로 진화하면서 사라져갈 것만 같던 사진관이 다시 인기다. 최근 20~30대 연인뿐만 아니라 가족이 모여 사진관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카메라가 날로 발전하며 눈가 주름, 입술 옆 점 하나까지 놓치지 않는 시대 흐름과 반대로 피사체의 윤곽, 질감을 살리는 것에 집중하는 필름 사진, 그중에서도 흑백 전문 사진관을 찾는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혼자 흑백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사진관까지 등장했다.
‘세상에 단 한 장’뿐인 흑백 즉석 사진
사진관의 부활을 이끈 건 뭐니 뭐니 해도 흑백 사진이다. 현재 전국에 흑백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곳은 10곳이 넘는다. 이 중에서도 사진 촬영 뒤 바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흑백 즉석 사진이 인기를 끌고 있다.
흑백 즉석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사진관은 대부분 옛날 감성이 묻어나는 동네에 있다.
서울 ‘물나무 사진관’ ‘연희동 사진관’은 최고 높이가 5층 미만인 건물이 붙어 있는 계동, 연희동 골목길에 자리 잡고 있다. 부산 신창동의 ‘근대 흑백사진관 그리다’는 국제시장 뒷골목에 있다. 김규현 연희동 사진관 대표는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 있는 흑백 사진을 다루는 사진관이 빌딩 숲 사이에 있다는 건 상상하기 힘들다”며 “옛날 서울 느낌이 나는 주택가 위주로 위치를 알아봤다”라고 말했다.
20~30대를 중심으로 남들과 다른 것을 갖고 싶다는 욕구가 증가한 것은 흑백 즉석 사진이 인기를 끄는 원인 중 하나다. 자녀의 돌이나 백일처럼 특별한 날에 예스러운 느낌의 사진을 남기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다. 다섯 살 딸을 키우는 성정연(여·36)씨는 “아이가 한 명인 만큼 다른 아이들과 다른 추억을 갖도록 하고 싶다”며 “컬러 사진을 찍었지만, 흑백으로 즉석 사진을 한 장 더 남겼다”고 말했다.
사진사 없이 ‘내가 찍는다’, 흑백 셀카 인기
흔한 셀카 대신 흑백 필름으로 자신을 촬영하는 사진관도 등장했다. 서울 신사동의 사진관 ‘포토매틱’은 연예인 공효진, 노홍철, 이하늬, 손나은 등이 셀프 촬영을 한 곳으로 유명하다. 이들이 혼자 또는 반려견과 함께 다채로운 표정으로 찍은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면서 이 사진관이 유명해졌다. 이곳에선 15분 동안 스스로 리모컨을 눌러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흑백 즉석 사진으로 유명한 물나무 사진관에서도 사진사 없이 혼자 하는 자화상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자신을 찍어야 하지만, 지켜보는 사람이 없어 오히려 자연스러운 표정이 나오기도 한다. 물나무 사진관은 고객의 자화상만 모아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포토매틱에서 친구들과 함께 사진을 촬영한 김진영(여·26)씨는 “사진 찍는 건 하나의 놀이”라며 “친구들 생일마다 와서 사진을 찍은 뒤 SNS에 올린다”고 말했다.
출처 : 이코노미조선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5&t_num=13608131